
We use creativity and teamwork to develop advanced biomaterials in support of national agendas pertaining to public health and the life sciences. Research topics include the following:
– Replacement : Innovative implantable biomaterials for tissue / organ replacement
– Regeneration : Advanced biomaterials for tissue regeneration & cell engineering
– Sensing & Monitoring : Cell & body sensing/monitoring using nano-materials / electronic devices
Kim, Yu-Chan
Head
- Clinical Trial Completion & Sales Approval of BioDegradable Metal by KFDA
(BBC world news, 2014) - Cell adhesion/migration control and Functional Intraocular Lens using
Curved Surface Nano Patterning Technology(Nature Mat., 2015) - Artificial photosynthesis system & self curable implant(Nature comm, 2015)
- Clinical trial of coronary drug-eluting/biodegradable stents
(Technology transfered, 2016) - Selective cell control with spontaneous ROS generation system
(Angw Chem Int Ed., 2015) - Stem cell 3D culture(Technology transferred, 2016), Vascularized 3D tissue
culture(Lab Chip, Sci Rep, 2015) - Non-invasive diagnostics for prostate cancer using patient urine
(Biomaterials, 2017. Adv. Health. Mater., 2017) - Single-droplet multiplex biosensor platform (ACS Nano, 2018)
Replacement

Regeneration

Sensing&Monitoring


공학 기반 재생 플랫폼 및 치료 기술
유연성 생리활성 고분자 기반 바이오 장기 (혈관, 골/연골, 피부 등) 개발 연구
맞춤형 바이오 장기개발을 위한 3D 프린팅 소재 개발
탈세포화 유래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조직 재생기술개발
Stem cell 연구를 위한 세포지지체 디자인 연구
난치질환 극복을 위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공학 (연골, 뼈, 심근, 혈관 등) 기술 개발

생체적합성 기능 소재 연구
차세대 고기능성 스텐트 개발, 생체용 내마모 복합코팅 기술
생분해성 금속 및 이를 이용한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개발
세포유래 생체소재를 이용한 지지체 개발,인광 및 형광 물질 합성 및 이의 응용연구
물리적, 전기화학적인 표면개질을 이용한 세포 조절 기능성 의료기기 개발
생체유래물질을 활용한 생체기능성 표면개질 연구

맞춤형 치료를 위한 정량진단 기술
자성 나노입자의 콜로이드 결정화에 의한 자기민감도 제어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마커의 고효율 자성분리
다중 컬러 양자점의 분광학적 특성 제어 및 측정 기술에 기반한 미량 바이오마커의 고감도 다중 정량 분석
기능성 단백질과 무기 나노소재를 활용한 정량검출 용 하이브리드 스마트 나노프로브 개발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정량진단 플랫폼 개발
재료/소자/MEMS 기술 기반 미량 바이오마커 정량 진단용 바이오센서 연구

신약의 합성 및 약물전달 시스템 개발 연구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스텐트 적용을 위한 소재표면에 약물의 탑재 연구
암, 퇴행성 뇌질환 등의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항암제, 단백질, 유전자, 조영제, 세포 등의 다양한 약물전달 시스템으로의 응용기술 개발

극한 분석 기술을 이용한 생체기능모사 연구
Cryo FIB/TEM을 이용한 생체조직/소재 동시관찰 기술